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 2025 여름학기 신입생 모집 안내

2025년, 서부대학기관협의회 (WASC)와 북미신학대학교협의회 (ATS) 승인: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100% 원격 수업 인증으로 유연성 있는 현장 수업과 원격 수업 환경 제공!

1월 겨울학기: 한국에서 대면 현장 집중 수업으로 진행

7월 여름학기: Zoom으로 실시간 원격 집중 수업으로 진행

미국 내 대면 수업 없이, 여행비 부담 최소화. 이제 대면 현장 수업과 실시간 원격 수업을 통합한, 글로벌 하이브리드 신학 교육을 경험해보세요!

—-

갈등의 치유, 회복과 변혁을 지향하는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2025 여름학기(7월) 16기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의 실천신학 목회학박사 프로그램은 지난 15년 동안 150명 이상의 재학생들과, 90명 이상의 목회학 박사들을 배출한 한국어 목회학 박사 과정입니다.

이 학위 과정은 한국을 아울러 전세계에서 목회하면서2년 동안 30학점을 취득 후,

박사학위 인증기관인 북미신학협회와 미국 서부 교육국의 방침에 따라

논문 프로젝트를 완성하면 목회학 박사 학위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습니다.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의 장점:

첫째, 지원자들의 재정 형편에 맞춰 보조하는 장학금입니다.

둘째, 한국어로 수업하고 한국어로 목회학 박사 논문을 쓸 수 있습니다.

셋째, 학기 마다 10일 동안(한 과목에 5일) 집중 수업을 하기 때문에, 목회와 학업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넷째, 한국에서 1월에는 대면 수업, 7월에는 미국에 오지 않고 Zoom으로 실시간 원격 수업을 하기 때문에 학비 외, 여행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섯째, 질적 연구라는 새로운 방법과 방법론을 습득하며 최근 실천 신학과 이론 신학의 경향을 연구하여, 목회에 꼭 필요한 갈등의 치유와 변혁을 지향하는 다양한 수업들과 논문 프로젝트를 우수 교수진과 함께 완성합니다.

여섯째, 입학부터 졸업까지 학생의 입장에서 최고의 교육과 행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 수업 기간: 2025년 7월 7일-7월 18일 (Zoom으로 하는 실시간 원격 수업)

2. 지원 마감일 (여름학기 16 기생): 2025 년 3월 1일까지

온라인 지원서 링크: https://cst.edu/apply-now/

온라인 입학지원 한글 설명서 바로가기: 

https://drive.google.com/file/d/1AeQN9pWkp3YzEMZX2Bn_k4x4RsbZWtYy/view?usp=sharing

3. 입학요건

a. M.Div. 학위 혹은 동등학위 소지자, 각 학위성적 (GPA) 3.25 이상

b. M.Div. 학위나 동등학위 취득 후 3 년 이상의 Full-Time 목회자

c. 본 과정은 한인교수가 강의하거나 미국교수가 한인교수와 함께 강의하기 때문에 토플성적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4. 수강 일정과 장소

a. Summer Intensive Course – 매 해 7월 첫째 주간과 둘째 주간에 원격 수업으로 진행합니다. 수업 방식은 실시간 Zoom 수업입니다.

b. Winter Intensive Course (대전, 서울, 한국) – 겨울 학기 집중 교육은 학사 일정에 따라 매년 1 월 첫째 주간과 둘째 주간에 열리며 월요일 혹은 화요일에 시작하여 2주 동안 한국 캠퍼스에서 열립니다.

5. 기타 정보

a. 이수학점: 30 학점 (전체 2 년 과정): 2025년 겨울 학기부터 입학하는 학생들은 현장 대면 수업보다 실시간 Zoom 원격 수업 과목을 최소 50% 이상 이수해야 합니다. 이상적인 수강신청은 실시간 Zoom 수업 네 과목과 현장 대면 수업 세 과목입니다. 

b. 이수기간: 4 학기

c. 수업료: 학점 당 $880 (2024 년 가을학기 기준, 수업료는 매 해 가을학기 기준 소폭 인상됩니다.)

d. 모든 여행비용은 학생이 부담합니다.

e. 재정 형편에 따라 장학금을 지급합니다. 여성 지원자들은 장학금 인센티브를 더 제공합니다.

f. 기독교대한감리회 교역자는 학위과정을 마친 후 교단에서 수여하는 “목회최고지도자과정” 증서를 받습니다.

g. 한국어로 수업하고, 한국어로 박사 논문을 작성합니다.

6. 문의

김남중 교수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 프로그램 학과장, 실천신학 교수, 국제협력 부학장)

※ 웹 정보: https://cst.edu/faculty/namjoong-kim/

※ 미국 휴대폰: 646-712-3278

※ 이메일: koreandmin@cst.edu (한국어 문의 가능)

※ 카톡 아이디: namjoong71

7.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 동문들이 만들어가는 이야기 영상 시리즈 (2020-24년)

주제: 나에게 클레어몬트란?

※ 이종철 박사 (Rev. Dr. JongChul Lee: 기독교대한감리회)

※ 김진명 박사 (Rev. Dr. Jinmyeong Kim: 기독교대한감리회)

※ 정진용 박사 (Rev. Dr. Jinyoung Jung: 한국기독교장로회)

※ 이선영 박사 (Rev. Dr. Sunyoung Lee: 한국기독교장로회)

※ 김충진 박사 (Rev. Dr. Chungjin Kim: 기독교대한감리회)

※ 동영상: 최세헌 박사 (Rev. Dr. Se Heon Choi: 기독교대한감리회)

※ 동영상: 김장호 박사 (Rev. Dr. Jangho Kim: 기독교대한감리회)

※ 동영상: 양희열 박사 (Rev. Dr. Huiyeol Yang: 기독교대한감리회)

※ 동영상: 이상수 박사 (Rev. Dr. Sang Soo Lee: 기독교대한감리회)

※ 동영상: 우상원 박사 (Rev. Dr. Sang Won Woo: 기독교대한감리회)

※ 동영상: 황선필 박사 (Rev. Dr. Seonpil Hwang: 기독교대한감리회)

※ 동영상: 최승목 박사 (Rev. Dr. Seung Mok Choi: 기독교대한감리회)

※ 동영상: 이혜영 박사 (Rev. Dr. Hyeyoung Lee: 기독교대한감리회)

※ 동영상: 이강산 박사 (Rev. Dr. Kangsan Lee: 기독교대한성결교회)

※ 동영상: 박사욱 박사 (Rev. Dr. Sawook Park: 일본침례교연맹)

※ 동영상: 최태양 박사 (Rev. Dr. Taiyang Choi: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 동영상: 주수경 박사 (Dr. Su Kyung Joo: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 동영상: 장본 박사 (Rev. Dr. Bon Chang: 한국기독교장로회)

※ 동영상: 문인혜 박사 (Dr. In Hey Moon: 한국기독교장로회)

과거를 성찰하고 현재를 점검하며, 미래를 함께 준비하는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Claremont School of Theology)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 과정 2025 년 여름(7월) 학기 입학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

■ 초대의 글: 갈등, 치유, 변화를 주제로 하는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은 통합적 상황분석을 강조함으로써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속에서의 개인과 공동체에 대한 이해, 또 갈등의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이 목회학 박사 학위 과정은 학생들에게 갈등과 치유에 대한 비평적이며 조직적인 이해, 이론과 실천의 접촉점에 대한 비평적 고찰, 임상과 신학의 통합된 기술과 능력을 얻도록 도울 것입니다.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은 한국 감리회 교육국과의 MOU 일환으로 감리회 목회 최고 지도자 과정을 위한 위탁 과정으로서 미국에서 최초로 목회학 박사 한국어 과정을 신설하여 DMin 학위를 수여한 역사적인 신학대학원입니다. 또한 미국 정부 교육부에 대학학력인증기관인 ‘서부대학기관협의회’(WASC)와 미국과 캐나다의 신학대학교의 공식학력을 인증하는 기관인 ‘북미신학대학교협의회’(ATS)로부터 공식적으로 실천신학 목회학박사학위를 인정받았습니다. 미국 교육부에서 인정하는 최상의 교수진과 수준 높은 교육과정인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에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 안내: 한국 사회 내의 갈등의 치유와 변혁을 위한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 학위 프로그램은 특별히 한국 사회나 북미 사회를 포함한 문화 간 사회에서 전문적으로 기여할 한국인과 한국계 미국인을 위하여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강의는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의 전문 교수진, 타 신학교에서 교육하는 한국인 교수, 그리고 한국계 미국인 교수들이 수업을 진행합니다.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 프로그램은 개인, 가정, 회중, 그리고 사회적으로 많은 갈등을 일으키며 급격히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상황과 다른 문화 간 사역의 현장에서 연구 질문을 시작합니다.

한국 사회와 한국계 미국인 사회에서의 갈등 들은 오늘날 한국 커뮤니티 안에서 “산업적인” 상담과 치유 사역의 급격한 상승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하지만, 많은 한국 교회들은 부흥회나 수련회, 그리고 예배와 같은 전통적인 치유의 형식으로 다양한 갈등들을 해소해왔습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갈등의 근원을 보지 못할 뿐 아니라 보다 결국 큰 사회적 상황을 돌보지 못하는 강도 높은 개인주의적 성향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그러므로, 클레어몬트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은 오늘 우리가 살아가는 현장과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분석을 무엇보다 강조합니다.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은 연구자에게 갈등과 치유에 관한 비판적이며 조직적인 이해를 요구하며, 당면한 이론과 실제 사이의 비판적 성찰, 그리고 실제적인 신학적 관점과 그 사유의 해석을 통합하여 적용하도록 전체 연구 과정을 지원합니다. 전체 연구 과정이 2년인 실천신학 목회학 박사과정은 2년의 학문적 프로그램, 즉 7개의 강의(28학점: 필수과목 1개, 선택과목 6개)와 나머지 기간 동안 2학점의 디민 프로젝트 Writing and Completion을 이수하면서 Practical Research Project (실천 연구 프로젝트)를 완성하도록 타임라인이 구성되어 있습니다(총 30학점). 

7개의 강의 중, 원격 수업이 현장 대면 수업의 50%를 넘어야 하기 때문에 졸업을 위해서는 원격 수업 4과목(16학점), 현장 수업 3과목(12학점) 을 수강해야 합니다. 프로젝트는 사역 현장의 본질과 실제 모두를 실천신학 관점에서 연구하여 작성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프로젝트는 전문적인 기준에 의하여 평가될 것이며, 연구자가 프로젝트에서 염두 한 특수한 청중 뿐만 아니라 다른 사역의 장소에도 적용 가능하고, 기여할 수 있는 충분한 프로젝트의 내용과 질을 연구자에게 요청할 것입니다.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CST) 소개:


CST는 미국 연합 감리교 소속 13개 신학대학원 중 하나로서, 긍휼(compassion), 정의(justice), 소속감(belonging)을 지향하는 공동체의 육성을 열망합니다. 이를 위해 CST는 성서 텍스트와 예술 창작품으로부터 지혜를 활용하고, 자신의 내면에 움직임을 돌보고, 창의적이며 해방적인 행동을 실천하며, 깊은 전통적 유산을 탐구하고, 이를 기반한 문화를 육성하는데 능숙한 지도자 및 평생 학습자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향해 겸손과 다양성에 대한 열린 마음으로 전 세계 기관과 연대하여 지역 사회 및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책임을 감당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하고 있습니다. 

학교 웹 사이트: www.cst.edu